본문으로 바로가기 대메뉴로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인쇄 트위터 페이스북

질환정보

사랑과 정성을 더하는 경북대학교병원이 되겠습니다.

질환종류
사구체신염 사두증(두개골기형) 사시 선천성 거대결장 소아 골절
소아 서혜부 탈장 소아청소년 및 노인정신질환 수근관 증후군, 손목 터널 증후군 신장이식 심장 재활

사시

사시정보
진료과 안과

두 눈이 사물을 볼 때 같은 방향을 향하지 않고 한눈은 정면을 볼때 다른 한눈은 안쪽, 바깥쪽, 윗쪽, 아래쪽으로 따로 향해 있어 양안의 시선이 같지 않는 경우를 사시라 합니다.

 이런 사시(사팔눈)의 발생률은 전 인구의 2~4%를 차지하며 그런 사시의 종류로 눈이 안으로 향하는 경우는 내사시, 눈이 밖으로 향하는 경우는 외사시, 눈이 위로 향하는 경우를 상하사시로 불려집니다.

사시는 항상 돌아가 있는 '항상성 사시'와 어떤 때는 똑바로 있으나 어떤 때는 사시가 되어 버리는 '간헐성 사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시의 증상

사시의 증상은 외관상 양안의 시선이 바르지 못하거나, 햇빛을 바로 보지 못하고 눈을 찡그린다든지 혹은 물체를 보려 할 때나 한쪽으로 머리나 얼굴을 기울이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사시의 종류

사시의 증상은 외관상 양안의 시선이 바르지 못하거나, 햇빛을 바로 보지 못하고 눈을 찡그린다든지 혹은 물체를 보려 할 때나 한쪽으로 머리나 얼굴을 기울이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1. 간헐성 외사시

간헐외사시는 사시 중에서 우리나라 어린이들에게 가장 흔하게 보이는 사시입니다. 외사시란 눈의 검은 동자가 가운데에 있지 못하고 밖으로 치우쳐진 상태를 말하고 간헐성이라는 말은 눈이 항상 돌아가 있는 것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눈이 돌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3-4세의 어린 아이들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돌이 지나지 않은 유아나 청소년기 심지어 성인이 되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들은 주로 피곤하거나 멍하게 있을 때, 감기 등으로 몸이 아플 때 눈이 밖으로 나간다고 하여 병원을 찾게 됩니다. 이러한 아이들의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는 눈부심으로 유난히 햇빛에 눈을 뜨지 못하거나 눈을 비비는 증상을 보여서 병원을 찾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술을 하지 않는 경우 자연경과는 아직 정확하게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저절로 좋아지지는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거나 조금씩 나빠지는 경과를 밟게 됩니다. 치료는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에는 2-3D 정도의 근시 과교정, 굴절이상교정, 한눈의 가림치료 등이 있지만 큰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고 수술을 시행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시도해 볼 수는 있습니다. 결국 치료는 수술을 통해서 가능합니다. 수술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양안시 기능과 미용을 고려하여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타당합니다. 또 눈이 돌아가있는 시기와 빈도가 증가하면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2. 조절내사시

조절내사시는 굴절조절내사시, 비굴절조절내사시, 부분조절내사시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중 가장 흔한 굴절조절내사시는 대개 2디옵터(diopter)이상의 원시와 동반되어 나타나는데 원시에 의해 과도한 조절을 함으로써 눈이 안으로 몰리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눈이 똑바르지만 아이들은 원시에 의해 흐려보이는 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조절을 하게 되고 이 중 일부 어린이에서 과도한 눈모음으로 인하여 내사시가 발생합니다. 원시가 있다고 해서 모두 내사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치료는 원시에 대한 안경교정 입니다. 안경을 쓰면 눈의 위치가 똑바로 되고 안경을 벗으면 눈이 안으로 몰립니다.


치료가 늦어지면 양안시기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진단 즉시 안경 치료를 시작합니다. 일부 내사시는 원시에 의한 조절에 의해 발생한 것이지만 일부는 조절과 상관없이 말생한 경우를 부분 조절내사시라고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조절마비굴절검사를 시행하여 원시를 완전히 교정한 후에도 내사시가 일부 남게 되는데 남는 원시에 대해서는 수술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즉 사시의 일부는 수술로, 일부는 안경으로 치료를 해야하는 경우입니다. 어떤 환자는 처음에는 내사시가 안경으로 완전히 교정이 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경을 써도 교정이 안되는 부분이 생길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원시가 완전히 교정되었는가를 확인한 후 수술을 결정하게 됩니다.


3. 마비사시

마비사시는 뇌 손상 혹은 뇌 신경 마비 때문에 생긴 사시로, 눈의 운동 장애와 함께 나타납니다.
 
눈에는 각각 6개의 근육이 존재하며, 이 근육들은 쌍을 이루어 힘의 균형을 맞추고 있습니다.

눈에는 수평, 수직, 회선(로터리) 운동이 존재하는데 우리가 어느 방향을 주시하여도 힘의 균형을 잘 맞추어, 물체를 융합하여 상이 하나로 보이게 합니다.
6개의 근육은 제 3, 4, 6번 뇌 신경의 지배를 받게 되는데 뇌에 손상(외상, 뇌혈관 질환, 고혈압, 당뇨병)이 가해지거나 말초 뇌 신경에 질환이 생기는 경우 신경에 문제가 생겨 근육이 마비됩니다. 이 경우 사시 때문에 물체가 둘로 보이고, 이 복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환자는 고개를 돌리거나 눈을 찡그리고 다니게 됩니다.


복시 현상은 마비된 근육의 방향으로 볼때 가장 심하기 때문에 환자는 복시를 줄이기 위하여 자신의 눈 위치를 마비된 반대 방향에 위치시키려고 고개 돌림을 하게 됩니다. 마비 사시의 종류에 따라서 턱을 들거나 내리고, 고개를 좌우로 돌리고 다니거나, 고개를 좌우로 기울이게 됩니다. 마비 사시 때문에 생긴 복시는, 한쪽 눈을 가리면 소실되기 때문에 일부러 한쪽 눈에 안대를 하거나 한쪽 눈을 찡그리고 다니기도 합니다. 마비 사시가 발생하여 눈에 복시가 나타나면 복시를 줄이기 위하여 한쪽 눈을 가리거나 프리즘 안경으로 교정하기도 합니다. 마비된 지 6개월 이내의 경우를 급성기라 하는데, 이때는 수술을 잘 시행하지 않고 마비 사시가 1년 이상 경과하여 만성기로 접어들면 수술을 시행하여 정면을 주시할 때의 복시나 사시 현상을 감소시켜야 합니다.